• OS 모듈 다루기- os 모듈은 Operating System의 약자로, 운영체제에서 제공되는 여러 기능을 파이썬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파이썬을 이용해 파일을 복사하거나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특정 디렉터리 내의 파일 목록을 구하고자 할 때 os 모듈을 사용하면 된다. - 먼저 현재 경로를 구하려면 os 모듈의 getcwd()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 import os >>> os.getcwd() 'C:\\Anaconda3\\Lib\\idlelib‘ - 특정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과 디렉터리 목록을 구하때는 listdir()함수를 사용한다. >>> os.listdir() ['autocomplete.py', 'autocomplete_w.py', 'autoexpand.py', 'bro..
• 시간 모듈 다루기# time() 시간을 반환해주는 함수로, 1970년 1월 1일 0시 0분 0초를 기준으로 초 단위로 지난 시간을 알려준다. 알아보기 어려움. # ctime() 우리가 알 수 있는 형태로 시간을 반환하여 준다. # ctime()의 반환값은 str(문자열) 타입이다. # ctime()을 cur_time으로 바인딩하여 문자열 함수 split을 이용하여, 연도 2017을 추출할 수 있다. # 구현 (1)>>> import time>>> time.time()1505892615.097865>>> time.ctime()'Wed Sep 20 16:30:22 2017‘>>> type(_)>>> cur_time = time.ctime()>>> print(cur_time.split(' ')[-1]) 2..
• 파이썬 – 모듈• 모듈은 '프로그램의 기능 단위'를 의미한다. 파이썬은 파일 단위로 작성된 파이썬 코드를 모듈이라고 부른다. • 모듈은 함수와 같이 코드의 재사용을 위해 만들고, 호출하여 사용한다. • 파이썬의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가 정의 되어 있는 파일 자체를 임포트(import) 하여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ex) import fruit• 파이썬 – 모듈 만들기• 앞에서 상한가와 하한가를 구하는 함수를 파이썬 IDLE에서 구현해 보았다.• 문제는 파이썬 IDLE를 닫으면 더는 해당 함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구현한 상한가와 하한가를 계산하는 함수를 파일로 작성해 이를 모듈로 만들어 본다. • 이렇게 모듈로 만들어 두면 두고두고 사용할 수 있다. • 파이썬 IDLE에서 Fil..
•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되는 함수를 내장 함수(Built-in Functions)라는 이름으로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abs() dict () help () min () setattr() all() dir() hex() next() slice() any() divmod() id() object() sorted() ascii() enumerate() input() oct() staticmethod() bin() eval() int() open() str() bool() exec() isinstance() ord() sum() bytearray() filter() issubclass() pow() super() bytes() float() iter() print() tuple() callable() forma..
• 파이썬 – 함수• 중복 코드를 재사용할 때는 함수(function)라고 하는 형태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 함수는 한번 잘 작성해 두면,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 내장함수 : print(), len(), input() 등 과 같이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함수 - 사용자 정의 함수 : 보통 def( ): 형태로 사용자가 만들어서 사용한다. • 일단 print()함수를 이용하여 ‘사과'출력을 보자. • 파이썬 – 함수 (반환값이 있는 함수) ------------------------------------------------------------------• 한 개의 반환 값이 있는 함수>>> def cal_upper(price): increment = ..
• 파이썬 – 제어문 while• 파이썬에는 for라는 반복문이 있다. for문은 반복 횟수가 정해저 있고,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와 함께 사용된다. • while문은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지 않고 특정 조건을 만족 할 때 까지 반복하게 된다.# while 문으로 10까지 반복 출력 >>> i = 0 >>> while i >> i 11 ( i 값이 11인 이유 : 반복문 안에 i + 1을 해주고 반복문을 빠져나와 11이 되어 반복문을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이다. )# for문 연산시 range 사용>>> for i in range(1,11): print(i) # 0, 1, 2, 3, 4, 5, 6, 7, 8, 9, 10>>> i 10 ( i 값이 10인 이유 : for문은 10번만 반복하는 조건이다.)..
• 파이썬 – 제어문 for ~ 문1)반복을 제어하는 구문은 for 문이다. 예) 1에서 10까지 출력하시오.# 일반적인 연산시 >>> print(1) >>> print(2) >>> print(3) >>> print(4) >>> print(5) >>> print(6) >>> print(7) >>> print(8) >>> print(9) >>> print(10)# for문 연산시>>> for i in [1, 2, 3, 4, 5, 6, 7, 8, 9, 10]: print(i)# for문 연산시 range 사용>>> for i in range(1,11): print(i)* range(1,11) 1에서 10까지 출력하기 위해서는, range의 범위를 (1,11)로 지정해야 한다. 파이썬은 범위지정의 두번째 수는..
• 파이썬 – 제어문 if 문1) 조건문에는 if라는 키워드를 사용한다. 2) if 다음에는 '조건'이 존재하는데 이 조건이 참(True)이면 들여쓰기한 문장이 실행된다. 3) if 문의 끝에는 콜론(:)을 입력한다. 4) if 문의 조건이 참(True)일 때 실행되는 문장은 들여쓰기해야 한다.# if 연산 - 사과가 500원이면 10개 사라. >>> apple = 0 >>> apple_price = 500 >>> if apple_price >= 500: apple = apple + 10 print(apple) 10 • 파이썬 – 제어문 if ~ else ~ 문1) 조건문에 if와 else 키워드를 사용한다. 2) if 다음에는 '조건'이 존재하는데 이 조건이 참(True)이면 if절 다음의 들여쓰기한 ..
• 파이썬 – 제어문 Boolean• 기본적인 자료형이며, True, False 값만 바인딩 가능.• type() 내장 함수를 이용해 타입을 확인해보면 이 반환된다.• True나 False는 파이썬의 예약어이며, T,F는 반드시 대문자로 써야 된다.# 구현>>> a = True>>> type(a)>>> b = False>>> type(b) >>> • Boolean이라는 자료형은 파이썬의 비교 연산자에서 많이 사용된다.• 비교 연산자라는 것은 어떤 두 값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비교 연산자이다. 연산자 연산자 의미 == 같다. != 다르다. > 크다. = 크거나 같다. >> 3 == 3 True >>> 3 != 3 False >>> 3 >> 3 > 3..
- Total
- Today
- Yesterday
- LTV
- 파이썬
- 주택시장
- 황제
- 파급효과
- enrico caruso
- Caruso
- 경제자료
- 클래식
- 라캄파넬라
- 2017년 2분기 경제전망
- intermezzo
- 베토벤
- 카루소
- Classic
- 부동산
- Emperor
- 조성진
- cavalleria
- Python
- 11월 기업경기전망
- enrico
- DTI
- 통신산업
- 가계부채
- 리스트
- 인터메조
- 피아노
- 위축
- 기초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